Spring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RequestBody Spring MVC를 이용해 API를 개발할 때, Http Message body에 있는 Json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주로 @RequestBody를 사용해 Json을 자바 객체로 변환한다. 이와 관련해서 Json으로 변환되는 객체는 기본 생성자만 있고 Setter가 없어도 변환 가능하다고 외우고 사용했다. 그러다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궁금증이 생겼다. 그래서 동작 원리를 여러 글과 코드를 통해 공부했다.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면 다른 분들도 재밌게 볼 수 있을 것 같아 글을 쓰게 됐다. @RequestBody 동작 원리 Spring MVC에서 요청이 들어와 @RequestBody를 처리하는 converter를 찾을 때까지 많은 과정이 있다. 이 글은 @RequestBody가 어떤 원리로 Json.. @JdbcTest와 @DataJdbcTest @JdbcTest와 @DataJdbcTest 테스트를 작성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빠르게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테스트 수행 시간이 길어진다면, 코드를 수정하고 테스트하는 작업을 안 하게 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Persistence Layer 계층의 클래스들을 테스트할 때 @DataJdbcTest, @JdbcTest를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해당 어노테이션들의 의미를 정확히 모르고 사용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고 싶어 글을 작성하게 됐다. @JdbcTest 공식 문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모든 스프링 빈을 auto-configuration 하지 않고, JDBC 테스트와 관련된 빈들만 auto-configuration 한다. .. 이전 1 2 다음